본문 바로가기

마음의 나무

살인과 사망과 도주 [사무엘하 13:23-39]

2022.10.9
사무엘하 13:23-39

사무엘하 13장 28절
압살롬이 이미 그의 종들에게 명령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이제 암논의 마음이 술로 즐거워할 때를 자세히 보다가 내가 너희에게 암논을 치라 하거든 그를 죽이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희에게 명령한 것이 아니냐 너희는 담대히 용기를 내라 한지라
사무엘하 13장 29절
압살롬의 종들이 압살롬의 명령대로 암논에게 행하매 왕의 모든 아들들이 일어나 각기 노새를 타고 도망하니라
사무엘하 13장 30절
그들이 길에 있을 때에 압살롬이 왕의 모든 아들들을 죽이고 하나도 남기지 아니하였다는 소문이 다윗에게 이르매
사무엘하 13장 31절
왕이 곧 일어나서 자기의 옷을 찢고 땅에 드러눕고 그의 신하들도 다 옷을 찢고 모셔 선지라
사무엘하 13장 32절
다윗의 형 시므아의 아들 요나답이 아뢰어 이르되 내 주여 젊은 왕자들이 다 죽임을 당한 줄로 생각하지 마옵소서 오직 암논만 죽었으리이다 그가 압살롬의 누이 다말을 욕되게 한 날부터 압살롬이 결심한 것이니이다



[본문 요약]

누이 다말을 욕보인 암논에 대한 원한을 품고 있던 압살롬은 양털 깎는 날에 암논을 죽일 계획을 실행에 옮긴 후 도망칩니다.
요나답은 압살롬의 살인 계획을 알고 있었으나 묵인하였고 다윗은 암논이 다말을 범했을 때 아무런 징계를 하지 않았듯이 압살롬에게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습니다.



[묵상]

암논이 다말을 범하고 버렸을 때 다윗이 분노에만 그치지 않고 적절한 징계를 내렸다면 어쩌면 압살롬의 원한도 사그라들고 암논을 죽이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다윗은 아무런 징계나 제재를 주지 않았고 이러한 현실을 안 압살롬은 오랫동안 원한을 품은 채 살해 기회를 엿보았던 것입니다.
위정자는 사회의 정의를 회복하고 원한을 풀어주는 역할을 해야 하지만 오히려 권력을 이용하여 타인을 착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리자의 위치에 있거나 리더의 자리에 있을 때 정의를 생각하고 나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착취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반응형